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2

낭중지추(囊中之錐)의 뜻과 유래 주머니 안에 송곳이 있다면 어떻게 될까요? 날카로운 송곳이 주머니를 뚫고 나올 겁니다. 낭중지추는 주머니 안의 송곳이라는 뜻으로 저절로 드러나는 것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참 재미있는 표현인 낭중지추의 유래와 의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囊 中 之 錐 주머니 (낭) 안,속 (중) 어조사 (지) 송곳 (추) 낭중지추가 인용된 뉴스로 쓰임 알아보기 '낭중지추' 베이징 때부터 남달랐던 김민재, 5년 전에 있었던 '비화' 진짜는 모두가 알아보는 법. 김민재는 중국 시절부터 유럽을 사로잡았었다. 이탈리아 '키스 키스 나폴리'는 16일 마시밀리아노 마달로니와 진행한 인터뷰를 공개했다. 마달로니는 "크리스티아노 지운톨리 나폴리 단장과 카르피 시절 함께 일했다. 5년 전 그에게 '강한 선수를 원하는가? 김민재를.. 2023. 6. 24.
발본색원(拔本塞源)의 뜻과 유래 '발본색원'을 직역하면 근본을 뽑고 근원을 틀어막는다는 뜻입니다. 이 고사성어는 중국 주(周)나라의 성왕((聖王)이 자신을 지극히 보필하는 백부(伯父) 주공(周公)에 대한 마음을 전하는 말에서 유래된 것입니다. 다만 오늘날에는 처음 사용된 의미에서 변화되어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발본색원의 유래와 뜻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拔 本 塞 源 뽑을 (발) 근본 (본) 막을 (색) 근원 (원) 발본색원이 인용된 뉴스로 쓰임 알아보기 정부, 전세사기 사범 2895명 검거했다 국토부·대검찰청·경찰청 등 지난 1년간 조사 288명 구속, 피해상담사례 등 바탕으로 의심사례 1322건 조사·분석, 향후에도 범정부 차원 협력해 범죄 근원 발본색원키로...뉴스보기 "주가조작 발본색원" 10년간 거래 전수조사 추진 주가 조.. 2023. 6. 23.
난형난제(難兄難弟)의 뜻과 유래 난형난제는 직역하면 형이라 하기 어렵고, 아우라 하기도 어렵다는 뜻입니다. 얼핏 들으면 무슨 뜻인지 이해하기 어려우나 이 이야기가 나온 유래를 들으면 금방 이해할 수 있습니다. 난형난제의 뜻과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難 兄 難 弟 어려울 (난) 형 (형) 어려울 (날) 아우 (제) 난형난제가 인용된 뉴스로 쓰임 알아보기 불황에도 선전…침대 1·2위 에이스-시몬스 '난형난제' 가구업계 불황에도 침대업계가 성장세를 보였다. 침대업계 1·2위 에이스와 시몬스가 제각각 차별화된 전략으로 시장 흐름을 선도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형제 경영인 안성호, 안정호 대표가 두 회사를 이끌면서 국내 침대 업계의 성장을 진두지휘하는 양상...뉴스보기 득점은 형이 승리는 동생이…허·허 대결 ‘난형난제’ "이게 불낙이야?" .. 2023. 6. 12.
파죽지세(破竹之勢)의 뜻과 유래 파죽지세를 직역하면 대나무를 깨뜨리는 형세라는 뜻입니다. 이 이야기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중국의 위,촉,오 삼국시대가 끝나고 진(晉) 나라가 마지막 남은 오(吳) 나라를 정벌하기 위해 전쟁을 하던 중 진나라의 장군인 두예(杜預)가 한 말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어떤 내용인지 보겠습니다. 破 竹 之 勢 깨뜨릴 (파) 대 (죽) 어조사 (지) 형세 (세) 파죽지세가 인용된 뉴스로 쓰임 알아보기 음악 앱 멜론까지 제쳤다... 글로벌 공룡 구글의 파죽지세 파죽지세(破竹之勢). 최근 구글이 한국에서 보여주고 있는 활약상은 압도적이다. 구글의 음원 앱 유튜브 뮤직이 국내 음원 앱 시장에서 10년 이상 1위 자리를 지켜왔던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멜론을 처음 제친 것으로 나타났다. 구글은 검색 시장에서... 뉴스보기 파죽.. 2023. 6. 8.
형설지공(螢雪之功)의 뜻과 유래 형설지공을 직역하면 ‘반딧불이와 눈으로 이룬 공’이라는 뜻입니다. 이 이야기는 중국 진(晉) 나라에 살았던 두 사람의 일화에서 비롯된 고사성어로 반딧불이와 눈으로 어떻게 공을 이뤘는지 궁금해지는 이야기입니다. 이 고사는 당나라 때에 편찬된 책에 소개가 되어 널리 알려졌고, 많은 사람들에게 가르침을 주는 말로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형설지공의 유래와 뜻을 알아보겠습니다. 螢 雪 之 功 반딧불이 (형) 눈 (설) 어조사 (지) 공 (공) 형설지공의 유래 형설지공은 교육적 의미가 있어 여러 책에서 나타납니다. 가장 처음 이 이야기가 언급된 책은 진서(晉書)의 차윤전(車胤傳)이고, 몽구(蒙求)라는 교육책에도 상세히 기록되어 있어 이를 바탕으로 중국은 물론 우리나라와 일본에도 알려져 많이 사용했습니다. 여기서는 제.. 2023. 5. 25.
조삼모사(朝三暮四)의 뜻과 유래 조삼모사를 직역하면 '아침에는 셋, 저녁에는 넷'이라는 뜻입니다. 중국 고서 열자(列子))에서 유래한 이야기로 원숭이에게 먹이를 주는 방법을 말하는 것입니다. 재미있는 일화이지만 그 뜻은 신중히 받아들여야 할 것입니다. 조삼모사의 뜻과 유래를 알아보겠습니다. 朝 三 暮 四 아침 (조) 석 (삼) 저물 (모) 넉 (사) 조삼모사의 유래 조삼모사는 중국 고서 '열자(列子)'의 '황제편(黃帝篇)'에 나오는 유명한 고사입니다. 원숭이를 키우는 사람이 형편이 어려워지자 원숭이에게 먹이를 주는 방식을 제안하며 원숭이를 속이는 내용입니다. 원문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참고로 이 이야기는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에도 나타나는데 열자에서 먼저 언급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송나라에 원숭이를 기르는 사람이 살.. 2023. 5. 24.
와신상담(臥薪嘗膽)의 뜻과 유래 와신상담을 직역하면 '장작더미 위에 눕고 쓸개를 맛보다'라는 뜻입니다. 장작더미에 누우면 등이 배겨 아프고 제대로 누워있기 힘들고, 아주 쓴 맛의 쓸개를 맛보는 것은 하기 싫은 어려운 일입니다. 이 고사는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와 월(越) 나라의 전쟁에서 비롯된 것으로 오늘날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 사자성어입니다. 와신상담의 유래와 뜻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臥 薪 嘗 膽 누울 (와) 섶 (신) 맛볼 (상) 쓸개 (담) 와신상담이 인용된 뉴스로 쓰임새 알아보기 '와신상담' 기아, 중국 전기차 시장에 출사표 던졌다 기아가 올해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인 중국에서 전용 전기차(EV)를 출시하면서 최근 부진했던 중국 시장에서 재도약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21일 기아에 따르면 송호성 기아 사장은 전날 .. 2023. 5. 23.
대기만성(大器晩成)의 뜻과 유래 대기만성은 직역하면 ‘큰 그릇은 늦게 만들어진다’는 의미입니다. 대기만성은 중국의 여러 고사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릇이 크면 담을 것이 많습니다. 하지만 큰 그릇을 만들려면 작은 그릇보다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은 당연하겠지요? 대기만성의 유래와 뜻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大 器 晩 成 큰 (대) 그릇 (기) 늦을 (만) 이룰 (성) 대기만성의 유래 대기만성은 노자(老子)의 도덕경(道德經)에서 처음 나오는 말이지만 그 해석에 있어 이견이 있고, 지금 흔히 사용되는 의미는 주로 후한서(後漢書) 마원전(馬援傳)과 삼국지(三國志) 위서(魏書) 최염전(崔琰傳)에 나오는 내용으로 많이 인용되고 있습니다. 후한서 마원전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습니다. 마원은 열두 살 때 부모를 잃었으나 어려서 큰 뜻이 있.. 2023. 5.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