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결초보은(結草報恩)의 뜻과 유래

by idiom.dictionary 2023. 5. 16.

 

결초보은은 직역하면 '풀을 묶어 은혜를 갚는다'는 말입니다. 풀을 묶는 것으로 어떻게 은혜를 갚았는지 알 수가 없기에 이 고사성어의 유래를 알아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춘추좌씨전'에 나오는 이야기로 결초보은의 뜻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맺을 (결) 풀 (초) 갚을 (보) 은혜 (은)

 

결초보은이 인용된 뉴스로 쓰임새 알아보기

 

결초보은-結草報恩-뜻과유래
결초보은-結草報恩-뜻과유래

 

결초보은의 유래

결초보은은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에 나오는 이야기로 중국 춘주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고사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진나라에 '위무자'라는 사람에게는 사랑하는 첩이 있었는데 그 첩은 자식이 없었습니다. '위무자'가 병이 들자 자신의 아들인 '위과'에게 이 첩을 재가(재혼)시키라고 분부하였습니다. 하지만 병이 심해지자 순장(죽은 사람과 같이 묻는 예전 장례 풍습)을 시키라고 말했습니다.

 

'위무자'가 죽자 아들인 '위과'는 그 첩을 재가시키며 말했습니다. 병이 심해지면 정신이 혼란해지니 저는 재가시키라는 말을 따른 것입니다.

 

후에 진(秦) 나라가 '위과'의 진(晉) 나라를 공격하여 싸우게 되었습니다. '위과'는 보씨 지역의 전쟁에서 용맹한 장수 '두회'가 이끄는 적군과 싸우게 되었는데 전투 중에 한 노인이 나타나 풀을 묶어 '두회'를 넘어지게 했습니다. '위과'는 '두회'를 사로잡고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습니다.

 

'위과'의 꿈에 노인이 나타나 "나는 재가시킨 부인의 아비 되는 사람입니다. 당신이 부친의 정신이 맑을 때의 명을 따라 내 자식을 재가시켜 살렸기 때문에 내가 은혜를 갚는 것이오"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결초보은의 뜻

풀을 묶어 은혜를 갚는다는 결초보은은 자신의 딸을 살려준 이에게 은혜를 갚기 위해 풀을 묶어 전쟁에서 승리하도록 한 노인의 이야기입니다. 죽어서도 은혜를 잊지 않고 어려움에 처했을 때 은혜를 같는다는 뜻의 이 고사성어는 지금도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얼마 전 튀르키예에서 큰 지진이 났을 때 우리 국민들은 튀르키예에 구조대를 보내고 구호물품을 전달하는 등 각종 지원을 아끼지 않았고, 마음으로도 그들의 안전과 피해복구를 기원했습니다. 이는 6.25 전쟁 당시 튀르키예가 우리나라에 미국, 영국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1만 4936명의 전투병을 파병해 721명이 전사하고 2147명이 부상을 당하는 등 큰 피해를 입으면서도 우리를 도왔던 은혜에 대한 보답이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사람은 보통 베푼 것은 오래 기억하지만, 받은 것은 쉽게 잊는다고 합니다. 하지만 은혜를 기억하고 갚는 것은 또 다른 은혜로 돌아온다는 것을 되새기며 서로 돕고 사는 마음을 간직하며 살았으면 합니다.

 

 

결초보은(結草報恩)이 나오는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원문 구절

秋七月 秦桓公伐晉 次于輔氏
壬午 晉侯治兵于稷 以略狄土 立黎侯而還
及雒 魏顆敗秦師于輔氏 獲杜回 秦之力人也
初 魏武子有嬖妾 無子 武子疾 命顆曰 必嫁是 疾病則曰 必以爲殉
及卒 顆嫁之曰 疾病則亂 吾從其治也
及輔氏之役 顆見老人結草以亢杜回 杜回躓而顚 故獲之
夜夢之曰 余 而所嫁婦人之父也
爾用先人之治命 余是以

 

결초보은과 비슷한 의미의 사자성어

각골난망(刻骨難忘)
입은 은혜에 대한 고마운 마음이 뼈에까지 사무쳐 잊히지 아니함.

백골난망(白骨難忘)
죽어도 잊지 못할 큰 은혜.

난망지은(難忘之恩)
잊을 수 없는 은혜.

난망지택(難忘之澤)
잊을 수 없는 은혜.

 

※ 결초보은은 '은혜를 갚는 행위'가 포함되어 있지만 위의 사자성어는 정확히 말한다면 '잊지 못할 큰 은혜'를 뜻합니다. 

  • 이 은혜를 어찌 잊을 수 있겠습니까 → 각골난망, 백골나망, 난망지은, 난망지택
  • 이 은혜를 반드시 갚겠습니다 → 결초보은

 

결초보은과 반대되는 의미의 사자성어

배은망덕 (背恩忘德)
남에게 입은 은덕을 잊고 배반함.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공자(孔子)가 지은 노나라(魯)의 역사서인 춘추(春秋)의 주석서(해설서)로 공자의 제자인 좌구명(左丘明)이 쓴 책이라고 전해지지만 분명하지는 않습니다. '춘추곡량전', '춘추공양전'과 함께 삼전으로 불리지만 그중에 가장 풍부한 자료를 바탕으로 상세하게 '춘추'의 내용을 설명하고 있는 '춘추좌씨전'을 으뜸으로 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