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삼모사를 직역하면 '아침에는 셋, 저녁에는 넷'이라는 뜻입니다. 중국 고서 열자(列子))에서 유래한 이야기로 원숭이에게 먹이를 주는 방법을 말하는 것입니다. 재미있는 일화이지만 그 뜻은 신중히 받아들여야 할 것입니다. 조삼모사의 뜻과 유래를 알아보겠습니다.
朝 | 三 | 暮 | 四 |
아침 (조) | 석 (삼) | 저물 (모) | 넉 (사) |
조삼모사의 유래
조삼모사는 중국 고서 '열자(列子)'의 '황제편(黃帝篇)'에 나오는 유명한 고사입니다. 원숭이를 키우는 사람이 형편이 어려워지자 원숭이에게 먹이를 주는 방식을 제안하며 원숭이를 속이는 내용입니다. 원문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참고로 이 이야기는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에도 나타나는데 열자에서 먼저 언급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송나라에 원숭이를 기르는 사람이 살고 있었다.
그는 원숭이를 좋아하여 여러 마리를 기르고 있었다.
그는 원숭이의 마음을 잘 이해하였고, 원숭이도 또한 그의 마음을 고맙게 여겼다.
그는 자기 식구들의 씀씀이를 줄여 원숭이의 원하는 것을 만족시켰다.
얼마 뒤 탕진하게 되었고, 그래서 원숭이의 먹이를 제한하려 했다.
원숭이들이 자기 말을 따르지 않을까 봐 염려되어, 먼저 원숭이들을 속여 말하기를,
"너희들에게 도토리를 아침에는 세 개, 저녁에는 네 개를 주면 만족하겠느냐?"
원숭이 무리가 모두 일어나 화를 내었다.
잠시 후에 말하기를,
"그러면 너희들에게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를 주면 만족하겠느냐?"
원숭이 무리가 모두 엎드려 기뻐하였다.
만물 중에 능력 있는 사람이 어리석은 사람을 서로 농락하는 것은 모두 다 이와 같다.
성인이 자기의 지혜로 여러 어리석은 사람을 농락하는 것도
또한 마치 저공이 지혜로 원숭이 무리를 농락하는 것과 같다.
명분과 실리에 아무런 손상 없이 그들을 기쁘게도 하고 노엽게도 할 수 있다.
조삼모사의 뜻
열자의 원문에서의 조삼모사는 저공이 자기의 지혜로 이용하여 어리석은 원숭이 무리를 다룬 것에 대해 나쁘다고 표현한 것 같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상대방이 알아차리지 못할 정도로 교묘하게 속이는 것을 두고 조삼모사라 합니다. 또 이것은 능력 있는 사람이나 지혜로운 사람이 할 수 있는 것이라는 표현이 있습니다.
하지만, 현대에 와서 조삼모사는 좀 더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됩니다. 힘 있는 자, 능력자의 입장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관점이 아닌 기만이나 속임을 당한 자 입장에서의 의미가 강조됩니다. 즉, 선량하거나 무지한 사람을 교묘하게 속이는 말이나 행동을 뜻하게 되었습니다.
계급이 존재하던 사회에서 평등한 사회로 바뀌면서 자신의 우월적 지위나 능력을 이용해 다른 사람을 기만하는 것은 나쁘다는 것이 요즘 사람들의 인식입니다. 여러분도 가끔은 내가 원숭이 취급을 당하고 있지는 않은지 주위를 살펴봐야 할 것입니다. 세상에는 언제나 교묘한 말로 자신의 이득을 취하려고 하는 사람이 있으니 말입니다.
아주 오래전에 한 만화작가가 조삼모사를 패러디한 만화를 인터넷에 올려 화제가 된 적이 있습니다.

이 만화가 크게 호응을 얻으며 각종 패러디가 난무하였는데 몇 가지만 더 소개합니다.




조삼모사가 인용된 뉴스로 쓰임새 보기
'가격인상' 교촌치킨 한시할인…반응은 '조삼모사' 싸늘
지난달 치킨값을 최대 3000원 올린 교촌치킨이 이제는 일부 메뉴에 대해 3000원 할인 행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뉴스보기]
경기도, 일산대교 등 민자도로 통행료 동결…'조삼모사' 비판도
경기도는 서민들의 경제적 부담 완화를 위해 버스 요금에 이어 도가 관리하는 일산대교·제3경인·서수원∼의왕 등 민자도로 3곳의 통행료를 인상하지 않기로 ... [뉴스보기]
조삼모사와 비슷한 의미의 사자성어
감언이설(甘言利說)
'달콤한 말과 이로운 이야기'라는 뜻으로, 다른 사람의 비위를 맞추며 달콤한 말과 그럴듯한 조건을 내세우며 꾀는 말을 의미함.
가기이방(可欺以方)
'남을 속인다'는 뜻으로, 그럴듯한 말로 남을 속일 수 있음을 의미함. 알고도 속아준다는 의미도 있음.
혹세무민(惑世誣民)
'세상을 현혹하고 백성을 속이다'라는 뜻으로, 사람들을 기만하여 이익을 취한다는 의미임.
조삼모사가 유래된 열자(列子) 황제편(黃帝篇)의 원문 구절
宋有狙公者(송유저공자) 愛狙(애저) 養之成羣(양지성군)
能解狙之意(능해저지의) 狙亦得公之心(저역득공지심)
損其家口(손기가구) 充狙之欲(충저지욕)
俄而匱焉(아이궤언) 將限其食(장한기식)
恐衆狙之不馴於己也(공중저지불순어기야)
先誑之曰(선광지왈)
與若芧(여약서) 朝三而暮四(조삼이모사) 足乎(족호)
衆狙皆起而怒(중저개기이노)
俄而曰(아이왈)
與若芧(여약서) 朝四而暮三(조사이모삼) 足乎(족호)
衆狙皆伏而喜(중저개복이희)
物之以能鄙相籠(물지이능비상롱) 皆猶此也(개유차야)
聖人以智籠羣愚(성인이지롱군우)
亦猶狙公之以智籠衆狙也(역유저공지이지롱중저야)
名實不虧(명실불휴) 使其喜怒哉(사기희노재)
열자(列子)
열자(列子)는 중국 전국 시대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는 도가(道家) 사상가 열자(列子:기원전 4세기경)가 지었다고 전해지는 책입니다. 열자는 노자, 장자와 함께 도가 3대 사상가로 불리고 있습니다. 책 열자에는 노자의 사상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는 열자의 도가적 사상이 나타나 있습니다.
유명한 고사들인 우공이산(愚公移山), 남존여비(男尊女卑), 조삼모사(朝三暮四), 기우(杞憂) 등은 열자에 실린 우화(寓話)로서, 이 책은 《장자(莊子)》와 함께 도가적 우화가 풍부한 책입니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죽지세(破竹之勢)의 뜻과 유래 (0) | 2023.06.08 |
---|---|
형설지공(螢雪之功)의 뜻과 유래 (0) | 2023.05.25 |
와신상담(臥薪嘗膽)의 뜻과 유래 (0) | 2023.05.23 |
대기만성(大器晩成)의 뜻과 유래 (0) | 2023.05.22 |
역지사지(易地思之)의 뜻과 유래 (0) | 2023.05.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