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파죽지세(破竹之勢)의 뜻과 유래

by idiom.dictionary 2023. 6. 8.

 

파죽지세를 직역하면 대나무를 깨뜨리는 형세라는 뜻입니다. 이 이야기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중국의 위,촉,오 삼국시대가 끝나고 진(晉) 나라가 마지막 남은 오(吳) 나라를 정벌하기 위해 전쟁을 하던 중 진나라의 장군인 두예(杜預)가 한 말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어떤 내용인지 보겠습니다.

 

깨뜨릴 (파) 대 (죽) 어조사 (지) 형세 (세)

 

파죽지세가 인용된 뉴스로 쓰임 알아보기

 

파죽지세-破竹之勢-뜻과유래
파죽지세-破竹之勢-뜻과유래

 

파죽지세의 유래

위(魏), 촉(蜀) 오(吳)의 삼국시대(三國時代)가 끝나가고 있는 시대였습니다. 위나라의 신하(臣下)였던 사마염(司馬炎)이 위나라의 조환(曹奐)을 폐(廢)하고 스스로 왕위(王位)에 오르고 진(晉) 나라를 세웠습니다. 진무제(晉武帝)로 등극한 사마염은 진남대장군(鎭南大將軍) 두예(杜預)에게 마지막 남은 오나라를 정벌(征伐)하도록 했습니다.

 

두예가 형주를 점령하고 오나라를 정벌을 위한 회의를 할 때에 어떤 이가 여름이 다가오고 있어 장마나 홍수로 인한 피해와 돌림병이 우려되니 물러났다가 겨울에 다시 군사를 일으키는 것이 좋다고 건의합니다. 그러자 두예는 옛일을 거론하며 우리 군사의 기세가 파죽(破竹)과 같다고 하며 공격을 독려하여 결국 오나라 정벌에 성공한다는 이야기에서 파죽지세가 유래되었습니다.

 

당시의 이야기가 진서(晉書) 두예전(杜預傳)에서 전해지니 그 내용을 풀이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군신들이 회의를 할 때 어떤 이가 말하였다.

백 년의 외적은 모두 없애기 어렵습니다.

이제 여름이 되니 큰 비가 사방에 내리고 전염병이 장차 생길 것입니다.

겨울이 오기를 기다려서 다시 군사를 크게 일으키는 것이 마땅합니다.

 

두예가 말하였다.

옛날에 악의 장군은 제서의 일전으로 강한 제나라를 물리쳤습니다.

지금 병사들의 위세가 이미 떨치고 있어 비유하자면 대나무를 쪼개는 것과 같습니다.

몇 마디를 쪼갠 후에는 모두 칼날에 맞아 쪼개지니 다시 손댈 일이 없을 것입니다.

 

마침내 말릉으로 가는 지름길을 만들어 군사들에게 공격을 지시하였다.

지나는 성과 고을들은 어찌할 바를 모르고 꼼작 못하였다.

(겨울에 공격할 것을)논하던 사람들은 글로써 사과하였다.

 

 

 

파죽지세의 뜻

대나무는 매우 단단한 나무이지만 결대로 쪼개면 쭉쭉 갈라지는 특성을 가졌습니다. 정확한 급소를 공격하면 거침없이 쪼개지는 것입니다. 이처럼 파죽지세는 맹렬한 기세로 거침없이 나아가는 것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이런 파죽지세는 현대에서도 여러 상황에서 많이 사용되는 고사성어입니다

 

위의 뉴스에서도 확인하셨겠지만 전쟁에서 승리를 거듭하며 진격하는 경우 외에도 기업이 승승장구하며 성공가도를 달리는 경우, 스포츠에서 승리를 거듭하며 기세를 올리는 경우 등 정말 많은 곳에서 사용합니다.

 

 

파죽지세와 비슷한 의미의 사자성어

요원지화(爎原之火)
무서운 기세로 타오르는 벌판의 불길이라는 뜻으로, 미처 막을 사이 없이 퍼지는 세력을 의미함.

세여파죽(勢如破竹)
기세가 대나무를 쪼개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기세가 맹렬하여 대항할 적이 없는 모양을 의미함.

 

 

파죽지세가 유래된 책의 원문 구절

 

출전(出典) : 진서(晉書) 열전제사(列傳第四) 두예전(杜預傳)

 

時眾軍會議 或曰.

百年之寇 未可盡剋.

今向暑 水潦方降 疾疫將起.

宜俟來冬 更爲大舉.

預曰.

昔樂毅藉濟西一戰以并彊齊.

今兵威已振 譬如破竹.

數節之後 皆迎刃而解 無復著手處也.

遂指授群帥 徑造秣陵.

所過城邑 莫不束手.

議者乃以書謝之.

 

 

파죽지세가 유래된 책 소개

 

진서(晉書)

진서(晉書)는 당나라 태종(太宗)의 지시로 644년에 방현령(房玄齡) 등이 편찬한 진(晉) 왕조의 정사(正史)입니다. 
제기(帝紀) 10권, 지(志) 20권, 열전(列傳) 70권 외에 재기(載記) 30권 등 총 130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처음으로 제기라는 양식이 정사에 나타난 것이며, 5호 16국(五胡十六國)에 관한 기록으로서 진나라 시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