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20 역지사지(易地思之)의 뜻과 유래 역지사지는 '처지를 바꾸어 생각한다.'라는 말입니다. 즉, 내가 아닌 다른 사람의 상황에서 생각해 보는 것을 뜻합니다. 이 고사성어는 맹자(孟子)에 나오는 '역지즉개연(易地則皆然)'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우리도 '입장 바꿔 생각해 봐'라는 말을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곤 합니다. 이렇게 자주 사용한다는 것은 이 말이 세상 사는 데에 꼭 필요한 말이기 때문일 것입니다. 역지사지라는 말이 생긴 유래와 그 뜻을 알아보겠습니다. 易 地 思 之 바꿀 (역) 땅 (지) 생각 (사) 갈 (지) 역지사지의 유래 맹자(孟子) 이루(離婁)에 나오는 '역지즉개연(易地則皆然)'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원문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우(禹)와 후직(后稷)은 태평한 시대에 세 번이나 자기 집 문 앞을 지나면서도 집에 들.. 2023. 5. 19. 맹모삼천(孟母三遷)의 뜻과 유래, 맹모삼천지교 맹모삼천을 직역하면 '맹자의 어머니가 세 번 이사함'이라는 뜻입니다. 우리가 흔히 맹모삼천지교라고 하는 것과 같은 말입니다. 맹자는 중국 전국시대의 유학자로 공자와 더불어 중국에서 가장 추앙받는 대표적인 철학자입니다. 성리학에서 중요 경전으로 꼽는 사서삼경(四書三經)의 하나인 '맹자(孟子)'를 통해 그의 사상을 알 수 있으며, 의(義)를 강조하여 인(仁)의 위치에 같이 놓아둠으로써 공자의 사상을 보충하고 발전시켰다는 평을 받고 있습니다. 맹모삼천은 이렇게 학문적으로 사상적으로 높은 경지에 오른 맹자의 어린 시절에 관해 전해지는 이야기로 맹자의 어머니가 맹자를 올바르게 교육시키기 위해 노력한 이야기에 맹모삼천의 유래가 있습니다. 맹모삼천의 뜻과 유래를 알아보겠습니다. 孟 母 三 遷 맏 (맹) 어미 (모) .. 2023. 5. 18. 관포지교(管鮑之交)의 뜻과 유래 사람이 태어나 세상을 살면서 가족만큼 중요한 존재는 친구라는 생각이 듭니다. 사랑은 부부의 연을 맺거나 피를 나누는 사람과의 관계를 나타내지만, 우정은 피를 나누지 않았어도 서로에게 배우고 때로는 논쟁하면서 서로의 존재를 인정하고 더욱 키워주는 그런 사이의 관계라 말할 수 있겠습니다. 관포지교는 관중이라는 사람과 포숙아라는 사람의 사귐을 말합니다. 친구였던 관중과 포숙아는 어떤 우정을 나누었는지 그 유래와 뜻을 알아보겠습니다. 管 鮑 之 交 대롱 (관) 절인 어물 (포) 어조사 (지) 사귈 (교) 관포지교가 인용된 뉴스로 쓰임새 알아보기 일본보다도 한국을 더 사랑했던 고(故) 가나야마 주한일본대사 지난 1일 경기도 파주시에서 거행된 고(故)가나야마 마사히데(金山政英) 전(前) 일본대사의 제4회 추모제에 .. 2023. 5. 17. 결초보은(結草報恩)의 뜻과 유래 결초보은은 직역하면 '풀을 묶어 은혜를 갚는다'는 말입니다. 풀을 묶는 것으로 어떻게 은혜를 갚았는지 알 수가 없기에 이 고사성어의 유래를 알아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춘추좌씨전'에 나오는 이야기로 결초보은의 뜻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結 草 報 恩 맺을 (결) 풀 (초) 갚을 (보) 은혜 (은) 결초보은이 인용된 뉴스로 쓰임새 알아보기 튀르키예 강진, 칠곡군 주민들 구호물품 5t 전달…"결초보은 마음" 경북 칠곡군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모은 구호 물품 5t을 지진피해를 겪는 6·25 전쟁 참전국 튀르키예로 보낸다. 26일 칠곡군에 따르면 주민들은 지난 열흘간 모은 생리대, 기저귀, 보온병, 양말, 목도리, 핫팩, 겨울용 의류 등을 27일 주한 튀르키예 대사관에...뉴스보기 세상에 이런 개도 있나 어느 .. 2023. 5. 16. 사분오열(四分五裂)의 뜻과 유래 사분오열은 직역하면 '넷으로 나뉘고 다섯으로 찢어진다'는 뜻입니다. 오늘날의 국제정세에서도 혹은 국내정치에서도 곧잘 등장하는 상황이기도 합니다. 이 말의 유래와 뜻을 알아보겠습니다. 四 分 五 裂 넉 (사) 나눌 (분) 다섯 (오) 찢어질 (렬) 사분오열의 유래 이 말은 전국책(戰國策)의 위책(魏策) 편에 나오는 말로 전국책(戰國策)은 중국 전국시대 전략가들의 다양한 책략이 기록되어 있는 책입니다. 전국시대는 중국이 아직 진(秦)나라로 통일되기 이전의 시대입니다. 이 시대의 중국은 전국 7웅이라는 진(秦)나라와 연(燕), 제(齊), 초(楚), 한(韓), 위(魏), 조(趙)나라가 중국을 분할하여 각축을 벌이고 있을 때입니다. 패권을 차지하기 위해서 혹은 살아남기 위해서 각 나라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전략을.. 2023. 5. 15. 쾌도난마(快刀亂麻)의 뜻과 유래 쾌도난마는 '날랜 칼로 헝클어진 삼을 베다'라는 뜻입니다. 어지럽게 헝클어진 삼베 실타래를 한 칼에 베어버린다는 말인데 복잡한 문제를 명쾌하게 처리하는 것을 뜻합니다. 실을 칼로 베어야 했던 것에는 무슨 사연이 있던 걸까요? 너무나 복잡한 요즘 세상에 쾌도난마는 참으로 필요한 순간이 많지만 세상일이 뜻대로 되지는 않은 것 같네요. 快 刀 亂 麻 쾌할 (쾌) 칼 (도) 어지러울 (난) 삼 (마) 쾌도난마의 유래 쾌도난마는 북제서(北齊書) 문선제기(文宣帝紀)에 나오는 이야기로 중국 남북조시대 동위의 개국공신이자 실권자였던 고환의 둘째 아들 고양의 일화에서 유래합니다. 고환은 여러 아들을 두고 있었는데 어느 날 아들들의 재주를 시험하고자 아들들에게 헝클어진 실뭉치를 주며 풀어보라고 했습니다. 아들들은 모두 한.. 2023. 5. 15. 사면초가(四面楚歌)의 뜻과 유래 사면초가를 직역하면 ‘사방이 초나라 노래’라는 뜻입니다. 사방팔방에서 초나라의 노랫소리가 들리는 상황이니 왠지 신이 나는 장면인 것처럼 느껴지지만 이 말은 생겨난 배경을 알게 되면 측은한 마음이 들 수밖에 없습니다. 사면초가의 유래와 뜻을 알아보겠습니다. 四 面 楚 歌 넉 (사) 낯 (면) 초나라 (초) 노래 (가) '사면초가'가 인용된 뉴스로 쓰임새 알아보기 ‘사면초가’ 유아인. 마약 7종 혐의에 지인 도피의혹 정황까지 마약 투약 혐의로 검찰에 넘겨진 배우 유아인(37·본명 엄홍식)이 사면초가에 몰렸다. 기존에 마약 5종 투약혐의에 더해 향정신성의약품 2종이 더해져 마약 7종 투약혐의를 받고 있다. 설상가상 지인을 도피한 정황까지 포착된 것으로 알려졌다....뉴스보기 "버스 운행할수록 손해, 만년 적자.. 2023. 4. 18. 마이동풍(馬耳東風)의 뜻과 유래 마이동풍은 말의 귀에 동쪽에서 부는 바람이 지나간다는 뜻입니다. 말의 귀에 바람이 분다 한들 말에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요. 마이동풍은 다른 사람의 말을 귀담아듣지 않는다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우리는 평소 주변사람들에게 많은 말들을 듣고 삽니다. 그중에는 나를 위해 필요한 말들도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말의 귀에 바람이 불듯 그런 이야기들을 흘려보낸다면 그 말은 아무런 소용이 없겠지요 馬 耳 東 風 말 (마) 귀 (이) 동녘 (동) 바람 (풍) 마이동풍의 유래 마이동풍은 이백(李白)이 그의 친구 왕십이(王十二)가 보낸 짧은 시 한 구절이 담긴 편지에 대한 답장으로 보낸 시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친구 왕십이가 자신의 처지를 한탄하는 의미가 담긴 '한야독작유회(寒夜獨酌有懷 : 추운 밤에 홀로 술을 마시며 .. 2023. 4. 12. 이전 1 2 3 다음